RaspberryPi (97) 썸네일형 리스트형 [RP2350-W6300 SSM] HSTX 를 이용한 DVI 출력 테스트 W6300을 이용하면 네트웍 전송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기존에 제작 했던 네트웍을으로 실시간 HDMI출력 속도를 더 빠르게 할수 있을것으로 기대가 된다.https://nexp.tistory.com/4057 [W55RP20 SSM] HDMI 출력 테스트 - 실시간 화면캡쳐 후 이미지 전송W55RP20 SSM HDMI 출력 예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전송 할 수 있도록 수정해 보았다. 320x240 BMP 이미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320x240x16 = 153600 Byte가 전송되며 대략 1.2Mbit 정도 되는 데이터 이nexp.tistory.com 먼저 [RP2350-W6300 SSM] 보드로 HSTX로 HMDI출력을 해보자.RP2350 SSM 보드를 이용하면 기존에 제작 했던 HDMI출력 확장.. [RP2350-W6300 SSM] Arduino에서 W6300 lwip를 이용한 TCP 전송률 테스트 RP2350에서 W6300의 TCP전송률은 90Mpbs 이상으로 측정되는 것을 확인 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Arduino에서 W6300을 테스트 해보자.아직 W6300에 대한 기존 Arduino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라이브러리를 수정하거나 Raspberry Pi Pico에서 제공하는 lwip를 이용해야 한다.우선 간단하게 Pico2에서 제공하는 W6300용 lwip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보자.먼저 BOARDS MANAGER에서 rp2350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야 한다. 최신 Board 파일이 업데이트 되면 W6300 lwip 라이브러리 를 사용할수 있고 가장 기본이되는 DHCP로 네트웍 정보를 받아 올 수 있는지 확인해 보자#include #define .. [RP2350-W6300 SSM] W6300 웹서버 테스트 [RP2350-W6300 SSM] 보드를 이용하여 웹서버 테스트를 해보자.[RP2350 SM] W6300 개발환경 설정 코드에서 웹서버 코드를 추가 할수 있다.https://nexp.tistory.com/4185 [RP2350 SM] W6300 테스트 개발환경 설정RP2350을 이용하여 W6300을 테스트 해보자먼저 하드웨어 적으로 QSPI로 연결한다. [W6300 SSM] 보드는 표준 핀맵의 SPI로 할당되어 있고 나머지 핀에 QSPI 핀이 할당되어 있다. RP2350은 QSPI 하드웨어 블록은nexp.tistory.com 웹서버를 구현하려면 ioLibrary_Driver 에서 제공하는 httpServer 코드를 복사한다.https://github.com/Wiznet/ioLibrary_Driver/tr.. [RP2350-W6300 SSM] RP2350 + W6300 테스트 보드 제작 MCU에서 가격대 성능으로 이야기 할때 RP2350이 단연코 1위가 아닐까... 그렇다면 네트웍 솔루션에서 가격도 저렴하면서 성능도 좋은 조합은 RP2350 + W6300인것 같다. W6300은 QSPI 인터페이스로 90Mbps 이상의 이더넷 전송률을 보인다.그래서 RP2350과 W6300을 하나의 보드에 넣어 SSM Type EVM 형태의 소형으로 제작해 보았다. 기존 RP2350-W6100 SM 보드 보다 최대한 작게 만들기 위해 SM Type 표준 핀맵을 사용하고 W6300을 보드 아래쪽에 실장 하도록 했다. [RP2350-W6300 SSM] 회로 핀맵 W6300의 이더넷 커넥터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 할 수 있는 형태로 해서 최대한 작은 사이즈로 제작했다. W6300은 RP2350의 QSPI.. RP2350 SM - HSTX를 이용한 DIV 테스트 HSTX(High-Speed Serial Transmit)는 Raspberry Pi RP2350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새로운 주변 장치이며, 고속 직렬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이다. 시스템 클럭과 독립적인 속도로 최대 8개의 GPIO를 통해 데이터를 스트리밍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존의 프로그래밍 입/출력(PIO)나 오버클럭 없이도 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HDMI출력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RP2350 HSTX로 HDMI출력 테스트를 해 보자.기존 RP2040도 PIO를 이용하여 HDMI출력이 가능했지만 PIO만으로 출력하다보니 320x240으로 해상도에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HDMI출력을 할때는 다른 PIO를 동시에 사용하기 어려워 Camera 입력을 받는예제는 작성하기 어려웠다. R.. [RP2350 SM] W6300의 Iperf TCP Throughput 측정 테스트 (94Mbps 측정) W6300의 가장 큰 특징으로 64byte의 메모리와 150Mhz QSPI로 고속의 이더넷을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RP2350을 이용한 W6300 개발환경 설정 코드를 수정해서 W6300의 TCP 전송률 테스트를 해 보자. 우선 W6300의 TCP루프백 테스트 코드로 TCP 송수신 속도를 측정 해보자.#include #include "pico/stdlib.h"#include "hardware/spi.h"#include "hardware/pio.h"#include "hardware/timer.h"#include "hardware/uart.h"#include "hardware/clocks.h"#include "hardware/pll.h"#include "wizchip_spi.h"#include "wi.. [RP2350 SM] W6300 테스트 개발환경 설정 RP2350을 이용하여 W6300을 테스트 해보자먼저 하드웨어 적으로 QSPI로 연결한다. [W6300 SSM] 보드는 표준 핀맵의 SPI로 할당되어 있고 나머지 핀에 QSPI 핀이 할당되어 있다. RP2350은 QSPI 하드웨어 블록은 플래시 메모리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PIO로 생성해 주어야 한다. 위즈넷에서 wizchip_qspi_pio.pio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제공되는 pio핀맵 특성상 핀들은 연속되게 설정되어야 한다. 연속되지 않는다면 PIO관련 코드 수정이 필요하다. RP2350 SSM EXP 보드에선 GP12~19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공 코드를 수정해 주었다.#elif (DEVICE_BOARD_NAME == W6300_EVB_PICO || DEVICE_BOARD_NAME == W630.. [RP2350_W6100] ST7789 TFT LCD 테스트 - TFT-eSPI 라이브러리 오류 수정 ST7789 TFT LCD 모듈을 이용하여 테스를 해 보기위해 TFT_eSPI 라이브러리를 사용 하려고 하는데 RP2040 TFT_eSPI 테스트 예제에서 사용했던 코드가 동작하지 않는다. 좀더 정확히는 잘 사용하던 TFT_eSPI 라이브러리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후 정상 동작을 하지 않는다.2.5.34 까지는 잘 동작 했었는데… 2.5.43에서는 컴파일은 되지만 LCD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다.SPI 신호는 정상적으로 나오는것 같은데… LCD제어 핀맵은 정상적으로 할당되어 있다. 그렇다면 라이브러리의 문제인데...#include #define TFT_CS 11 // Define as not used#define TFT_DC 12 // Data Command control pin#def.. 이전 1 2 3 4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