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094)
[RP2350-W6300 SSM] HSTX 를 이용한 DVI 출력 테스트 W6300을 이용하면 네트웍 전송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기존에 제작 했던 네트웍을으로 실시간 HDMI출력 속도를 더 빠르게 할수 있을것으로 기대가 된다.https://nexp.tistory.com/4057 [W55RP20 SSM] HDMI 출력 테스트 - 실시간 화면캡쳐 후 이미지 전송W55RP20 SSM HDMI 출력 예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이미지를 전송 할 수 있도록 수정해 보았다. 320x240 BMP 이미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320x240x16 = 153600 Byte가 전송되며 대략 1.2Mbit 정도 되는 데이터 이nexp.tistory.com 먼저 [RP2350-W6300 SSM] 보드로 HSTX로 HMDI출력을 해보자.RP2350 SSM 보드를 이용하면 기존에 제작 했던 HDMI출력 확장..
[RP2350-W6300 SSM] Arduino에서 W6300 lwip를 이용한 TCP 전송률 테스트 RP2350에서 W6300의 TCP전송률은 90Mpbs 이상으로 측정되는 것을 확인 했기 때문에 이번에는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Arduino에서 W6300을 테스트 해보자.아직 W6300에 대한 기존 Arduino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 라이브러리를 수정하거나 Raspberry Pi Pico에서 제공하는 lwip를 이용해야 한다.우선 간단하게 Pico2에서 제공하는 W6300용 lwip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보자.먼저 BOARDS MANAGER에서 rp2350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야 한다. 최신 Board 파일이 업데이트 되면 W6300 lwip 라이브러리 를 사용할수 있고 가장 기본이되는 DHCP로 네트웍 정보를 받아 올 수 있는지 확인해 보자#include #define ..
[RP2350-W6300 SSM] W6300 웹서버 테스트 [RP2350-W6300 SSM] 보드를 이용하여 웹서버 테스트를 해보자.[RP2350 SM] W6300 개발환경 설정 코드에서 웹서버 코드를 추가 할수 있다.https://nexp.tistory.com/4185 [RP2350 SM] W6300 테스트 개발환경 설정RP2350을 이용하여 W6300을 테스트 해보자먼저 하드웨어 적으로 QSPI로 연결한다. [W6300 SSM] 보드는 표준 핀맵의 SPI로 할당되어 있고 나머지 핀에 QSPI 핀이 할당되어 있다. RP2350은 QSPI 하드웨어 블록은nexp.tistory.com 웹서버를 구현하려면 ioLibrary_Driver 에서 제공하는 httpServer 코드를 복사한다.https://github.com/Wiznet/ioLibrary_Driver/tr..
[RP2350-W6300 SSM] RP2350 + W6300 테스트 보드 제작 MCU에서 가격대 성능으로 이야기 할때 RP2350이 단연코 1위가 아닐까... 그렇다면 네트웍 솔루션에서 가격도 저렴하면서 성능도 좋은 조합은 RP2350 + W6300인것 같다. W6300은 QSPI 인터페이스로 90Mbps 이상의 이더넷 전송률을 보인다.그래서 RP2350과 W6300을 하나의 보드에 넣어 SSM Type EVM 형태의 소형으로 제작해 보았다. 기존 RP2350-W6100 SM 보드 보다 최대한 작게 만들기 위해 SM Type 표준 핀맵을 사용하고 W6300을 보드 아래쪽에 실장 하도록 했다. [RP2350-W6300 SSM] 회로 핀맵 W6300의 이더넷 커넥터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 할 수 있는 형태로 해서 최대한 작은 사이즈로 제작했다. W6300은 RP2350의 QSPI..
MSPM0G3507 GUI Composer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TI의 https://dev.ti.com/gallery/ 는 다양한 GUI를 제공하는 솔루션 소프트웨어로 JSON 형식 문자열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GUI 위젯과 연결하하여 간단히 입 출력 할수 있는 도구 이다. GUI를 이용하려면 TI에서 제공하는 gui_composer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쉽게 데이터를 송 수신 할 수 있다. [gc_simple_json 전체 예제 소소코드]https://dev.ti.com/tirex/explore/node?node=A__AE1F5mI8zvPZ1GlsPcvVkw__MSPM0-SDK__a3PaaoK__LATEST#include "ti_msp_dl_config.h"#include #include #include // GUI Composer 하드웨어 추상화 레..
[MSPM0G3507 SSM] SPI테스트 - W5500 을 이용한 TCP 전송률 테스트 기존의 MSPM0L1306(https://nexp.tistory.com/4071)의 SPI최대 클럭은 16Mhz 였는데 MSPM0G3507은 80Mhz 클럭으로 동작하고 최대 40Mhz SPI클럭을 출력 할 수있다. MSPM0G3507의 SPI 기능으로 W5500 이더넷 모듈을 이용하여 TCP 전송률 테스트를 해보자. CCS의 SysConfig 로 SPI 를 추가 하고 80Mhz에서 SPI클럭을 선택하면 최대 40Mhz SPI클럭을 출력 할 수 있다.하지만 SPI 최대 전송률은 32Mhz로 제한이 되어 있다. 클럭 자체는 40Mhz로 출력 되지만 데이터 를 보장하려면 클럭을 줄여야 한다. 이부분은 아쉽다. 일단 20Mhz 클럭으로 설정하고 테스트 해보자. MSPM0G3507의 SPI핀은 PA4~PA6에..
[MSPM0G3507 SSM] 12bit DAC 테스트 - 사인파 출력하기 MSPM0G3507의 특징으로 12Bit DAC가 있다. MSPM0L 시리즈는 8bit DAC가 있어 약간 아쉬움이 있었는데… 12bit DAC로 좀더 고성능 DAC를 테스트 해 볼 수 있을것 같다. MSPM0의 아날로그 기능은 다양한 옵션설정으로 고성능의 프로젝트에 적용할 수 있다. 우선 SysConfig로 DAC12를 추가 하고 레퍼런스 및 핀맵을 설정하자. DAC의 클럭 베이스는 MFPCLK인데 디폴트는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체크 해 주어야 한다. DAC12 출력은 다양한 아날로그 기능에 설정할 수 있는데 단순히 DAC출력을 확인하기 위해 Output Amp에 할당하자. SysConfig 설정후 빌드하면 자동 코드가 생성되는데 DL_DAC12_output12 함수로 DAC..
[MSPM0G3507 SSM] 저전력 슬립(STOP)모드 테스트 MSPM0Gxx 시리즈의 특징으로 고성능, 저전력 기능이다. 전통적으로 MSP430시리즈는 저전력 기능이 우수 하였지만 성능에서 아쉬운점이 있었는데 MSPM0 시리즈로 오면서 성능까지 향상된것 같다. MSPM0의 저전력 모드는 SLEEP, STOP, STANDBY, SHUTDOWN 모드로 구분된다. Sleep 모드 4Mhz에서 200uA를 소모하고 Stop 모드에서 32khz에서 50uA를 소고 한다고 한다. 모소 전력 면에서 역시 MSPM0 시리즈가 탁월한 것 같다.클럭이 살아 있는 STOP 모드에서 최소 46uA를 소모 한다고 하니.. 테스트 해볼 필요가 있을것 같다. MSPM0G3507을 이용해서 스위치를 누르면 Sleep 모드로 진입 했다가 다시 누르면 깨어나서 동작 하는 기본 예제를 테스트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