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MD21E-S EVM] Atmel Studio에서 Delay 함수 사용하기
Atemel Strdio에서 딜레이 함수는 delay_ms() 함수 를 사용하면 된다.
}
자동 생성 코드에 아래와 같이 생성되어 있다.
us단위의 딜레이 함수 delay_us() 함수도 사용가능하다.
Atemel Strdio에서 딜레이 함수는 delay_ms() 함수 를 사용하면 된다.
}
자동 생성 코드에 아래와 같이 생성되어 있다.
us단위의 딜레이 함수 delay_us() 함수도 사용가능하다.
Atmel START 개발환 경에서 시리얼 포트 출력에서 printf 를 사용하려면 _write(), _read() 함수를 원하는 포트로 재 정의 해 주면 된다.
ATSAMD21에서 printf는 잘 동작 하긴 하는데...
문제는 printf 함수로 float 변수를 출력하면 정상 출력이 된다.
옵션에서
-u_printf_float
를 추가 해 주면 된다고 한다.
ATSAMD21 printf 함수에서 float 변수 출력 예제 소스코드
}
ATSAMD21 printf 동작 출력 화면
ATSAMD21 의 UART 실험을 Atmel Studio 에서 해보았다.
[SAMD21E-S EVM] 보드는 S-Type EVM 형태의 핀맵으로 표준화 되어 있고 Serial 핀이 PA10(TXD), PA11(RXD) 에 할당 되어 있다.
먼저 Atmel START로 프로젝트 생성하고 UART Component를 추가 한다.
UART 핀맵을 PA10, PA11에 할당하고 코드 생성 한다.
테스트는 S-Type - SSM-Type EVM 확장테스트 보드, USB C-type USB2UART 보드를 이용하여 진행 하였다.
Atmel START에서 자동 생선된 기본 코드에서 examlpe 를 참고 하여 간단히 UART로 출력 하는 코드를 작성하여 테스트 가능하다.
#include <atmel_start.h>#include <stdlib.h>#include <stdio.h>#include <stdarg.h>struct io_descriptor *uart_io;int main(void){/* Initializes MCU, drivers and middleware */atmel_start_init();usart_sync_get_io_descriptor(&USART_0, &uart_io);usart_sync_enable(&USART_0);/* Replace with your application code */while (1){
io_write(uart_io, "a", 1);
gpio_toggle_pin_level(LED1);delay_ms(500);}}
ATMEL Studio 에서 옵티마이즈 옵션 설정
ATSAMD21을 48Mhz로 구동하고 최종적으로 GPIO토글 속도를 측정해 보면 86ns로 측정 된다.
ATSAMD21 의 개발환경으로 AtmelStudio7를 사용 하였다.
기존 AVR 컴파일에 사용 했던 Atmel START를 이용하면 쉽게 SAM 시리즈도 개발 할수 있어 장점인것 같다.
우선 새로운 프로젝트를 Atmel START로 생성한다.
디바이스(ATSAMD21)를 선택하고 다음.
DASHBOARD 에서 필요한 Component를 추가 한다.
PINMUX 에서 프로젝트에 사용될 핀들을 할당하고 설정한다.
팁
AtmelStudio START의 장점으로 생성된 코드에서 Atmel START 프로젝트 환경을 생성해 낼 수 있다. 즉 개발 도중에 추가 컴포넌트가 있거나 핀맵 변경이 있을 경우 프로젝트 파일을 새롭게 생성해 수정할수 있어 편한것 같다.
ST사의 CubeMx의 경우 컴포넌트 수정 반영하려면 상당히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 불편했는데 이부분은 잘 되어 있는것 같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