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94)
[RP2350_ W6100] Raspberry Pi Pio2 RP2350 테스트 보드 제작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예제를 지원하는 Raspberry Pi Pico(RP2040) 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Raspberry Pi2(RP2350)이 출시 되었다. 다양한 테스트를 쉽게 해보기위해 표준화된 핀맵인 SM-Type EVM 형태로 제작했다. RP2040은 듀얼 ARM Cortex-M0+ 코어를 탑재하여 저전력과 효율성을 강조했다. 반면, RP2350은 ARM Cortex-M33 코어를 탑재하여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 Cortex-M33는 DSP(디지털 신호 처리) 및 부동소수점 연산을 지원하므로, 복잡한 알고리즘과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더 적합하다. 이러한 성능 향상은 AI/ML 애플리케이션, 고급 센서 데이터 처리, 실시간 제어 시스템 등에 큰 도움이 될것 같다 RP2350과 RP2040을..
[ESP32-S3 xBee] Iperf로 WiFi Throughput 측정 테스트 ESP32-S3의 Wi-Fi 성능 테스트를 위해 iperf 전송률 테스트를 해보자 먼저 기존에 테스트 했던 Arduino IDE에서 iperf 테스트를 해 보면 7Mbps 정도 측정된다. ESP-IDF에서 iperf 전송률 테스트를 해보자. ESP32-C3에서 테스트 했던 코드를 ESP32-S3로 수정해서 컴파일하고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해서 테스트 해았다. ESP-IDF 개발환경을 이용하여 ESP32-S3 WiFi 성능 테스트를 해 보면 iperf 성능이 60Mbps이상 측정이 되는것 같다.
[ESP32S3 Xbee] ESP32-S3-WROOM EVM 보드 제작 ESP32-S3-WROOM 모듈을 무선 기능을 가진 [xBee EVM] 형태의 핀맵으로 제작 했다.인증 받은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경우 무선 모듈을 사용하면 좋은데 XBee 모듈과 동일한 핀맵으로 만들어 두면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것 같다. [ESP32S3 Xbee] 보드 회로 핀맵
ADS1120 - 16-bit, 2-kSPS, 4-ch, delta-sigma ADC with PGA AD/DA 모듈 보드 제작 다양한 AD/DA 칩을 테스트 할 수 있는 표준화 핀맵의 AD/DA모듈 형태로 4채널 16bit ADC ADS1120 모듈 보드를 제작 했다.ADS1120은 SPI방식의 16bit ADC 이며 2k-SPS의 속도와 레퍼런스, PGA가 내장된 다기능 ADC칩이다.
[ESP32-C6 SSM] ESP-NOW를 이용한 리모컨 데이터 전송 ESP-NOW는 Espressif Systems에서 개발한 ESP32, ESP8266 기기 간의 통신 프로토콜이다. MAC 주소를 기반으로 한 peer-to-peer 방식으로, 보드 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ESP-NOW의 특징은 각 보드가 송신자이자 수신자가 될 수 있고 기기가 같은 WLAN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raw 802.11 패킷을 직접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조라 간단하고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하다.  ESP32에서 슬립 모드에서 ESP-NOW를 사용하여 스위치 상태를 전송하는 예제를 작성해보자. ESP32는 저전력 모드를 제공하는 다양한 슬립 모드를 지원하므로, ESP32가 슬립 모드에 들어가고 스위치를 누를때 깨어나서 ESP-NOW를 사용하여 데..
[ESP32-C6 SSM] BLE 5.3 테스트 - Web Bluetooth 테스트 ESP32C6의 BLE는 ESP32C3의 5.0에서 5.3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테스트 해봐야지.. 우선 가장 기본이 된는 BLE UART를 ESP32C6에서 BLE를 테스트해 보자. 뭔가 달라진 것이 있을 까 했지만 예제 코드는 기존과 동일하다. 새로운 칩을 테스트 해 보는것이니 뭐라도 새로운 스터디를 할 수 있도록 해보자. 기존 코드에서 LED관련 GPIO만 수정해서 코드 작성하자.#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 LED 핀 정의#define LED_PIN1 14#define LED_PIN2 15// BLE Server 및 Characteristic 포인터 선언BLEServer *pServer = NU..
[ESP32-C6 SSM] ESP32C6 Deep Sleep Mode 테스트 ESP32C6 는 저전력 을 강조해서 선전하고 있는데 소모 전류 테스트를 해보자 우선 스펙을 확인하니 여전히 WiFi, BLE 모두 소모 전류가 상당히 크다. 아무래도 밧데리 구동 어플리케이션은 무리가 있어 보인다. 사용하지 않을때 슬립 모드로 들어가는 옵션을 사용하면 그나마 사용할 수 있을것 같다.Deep-Sleep Mode에서 7uA로 ESP32(https://nexp.tistory.com/3757)보다 좋아진것 같다. 하지만 ESP32C3(https://nexp.tistory.com/3755 )보다는 높은것 같다.ESP32C6 에서 Deep Sleep Mode에서 깨어나는 방법은 타이머 인터럽트나 LP_GPIO를 설정해서 깨어날 수 있다. 기존 ESP32에서는 RTC GPIO를 사용했는데 LP_GP..
[ESP32-C6 SSM] WiFi AP 모드 웹서버 테스트 ESP32는 AP(access point) 기능이 있고  스마트 폰, 노트북 등이 ESP32에 접속하여 기기를 제어 할 수 있다. 기존에 제작했던 프로젝트에서 ESP32의 AP 기능을 이용해서 핸드폰으로 원격지의 보드에 접속해서 간단한 설정이나 제어를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ESP32C6의 AP 모드를 테스트 해 보자. ESP32C6의 AP모드를 설정하고 AP가 검색되는 간단한 예제를 구동해 보자.#include #include const char *ssid = "ESP32-AP";const char *password = "123456789";#define LED_PIN 14#define Led1On() digitalWrite(LED_PIN, 0) #define 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