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SM

(34)
[ESP32-C6 SSM] ESP32-C6 테스트 보드 제작 ESP32-C6는  2.4 GHz Wi-Fi 6(802.11 b/g/n/ax), Bluetooth 5 (LE), Thread, Zigbee 를 포함하고 있다. RISC-V 코어로 저렴하면서도 다양한 RF스택을 지원하는 솔루션에 적합한 MCU인것 같다.ESP32-C3 도 처음 나왔을때 작고 저렴해서 매리트 있었는데 이번에 출시된 C6도 다양한 RF를 지원해 테스트 해두면 좋을것 같다. 표준 핀맵인 SSM Type EVM 형태로 제작해 보았다. ESP32-C3를 업그레이드 해서 WiFi 기능과 저전력 기능 더욱 강화 했다고 하는데 아래표와 같이 비교 해 볼 수 있다. [ESP32-C6 SSM] 회로 핀맵
[MSPM0G1307 SSM] MSPM0G 시리즈 테스트 보드 제작 MSPM0에서 성능이 가장좋은 G 시리즈중 저렴한 MSPM0G3507을 테스트 할수 있는 MSPM0G3507 SSM 테스트 보드를 제작 했다. 저렴한 가격에 플래시 용량도 크고 FDCAN, ADC, DAC, OPAMP 까지 포함되어 있다. 저렴한 CAN 어플리케이션 제작에 있어 좋은 솔루션이 될것 같다. MSPM0G3507 80MHz Arm M0+ MCU, 128KB 플래시, 32KB SRAM, 2 × 12비트 4Msps ADC, DAC, 3 × 콤퍼레이터, 3 × 연산 증폭기, CAN-FD, MAT 1ku | ₩857   [MSPM03107 SSM] 회로 핀맵  ADC레퍼런스는 필요에 따라 LM4041을 외부에 별도로 실장 할수 있도록 했다.  MSPM0G 시리즈는 FDCAN이 있어서 CAN을 테스트 ..
[MSPM0L1306 SSM] MSPM0L1306 보드 제작 TI는 최근 MSP430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저전력 MCU(MSPM0)를 출시했다. 이번 제품은 저전력 소비와 합리적인 가격을 강조하며, 특히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에서 효율적인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것 같다. MSPM0는 ARM Cortex-M0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TI의 독자적인 16비트 MSP430 아키텍처를 대체하는듯 하다. 개인적으로는 MSP430의 독자적인 코어를 개선하여 이어가는 방식이었으면 좋았을 텐데, ARM 코어를 채택한 점은 다소 아쉽게 느껴진다. MCU 생태계에서 다양한 코어 선택의 자유로움이 더 많은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 MSP430 시리즈가 이제 ARM 코어에 의해 밀려난 것처럼 보이는 점도 다소 씁쓸하게 다가온다. 한편, MSPM0의 크기는..
[W55RP20 SSM] W5500 + RP2040 SIP W55PR20 보드 제작 RP2040 과  W5500을 한칩으로 제작한 W55RP20 을 이용하여 SSM Type EVM 형태로 테스트 보드를 제작 했다.기존에 제작 했던 [RP2040 SSM]보드 및 [RP2010_W5500 SSM] 보드와 핀맵을 동일하게 SSM Type EVM 형태로 제작 했다.    Ethernet 커넥터를 교체 할 수 있는 커넥터 타입으로 적용하여 탈 부착 할 수 있으며 PoE모듈들을 연결 하기 쉽도록 제작 했다. 단독으로 사용하면 USB기능의 소형 테스트 보드로도 활용 가능하다.  기존에 [RP2040_W6100] 보드와 비교하면 높이가 조금 높아졌지만 탈부착 가능해 다양한 용도로 좀 더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W55RP20 회로 핀맵 W55R2040 관련 자료는 Wiznet 홈페이지(http..
[ESP32S3-SSM] EVM 보드 제작 ESP32시리즈중 성능이 가장 좋은 ESP32S3는 32비트, 듀얼 코어, Xtensa 프로세서 칩을 탑재한 마이크로컨트롤러로, USB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한다. 저렴한 칩가격이므로 SSM Type 으로 소형으로 제작해 두면 여러 용도로 사용하기 좋을것 같다. 기존에 제작했던 [ESP32-S3 SM] 보다 최대한 작게 제작해 보았다.https://nexp.tistory.com/3877 [ESP32S3-SM] ESP32S3 테스트 보드 제작ESP32-S2 는 WiFi 및 USB 기능이 있어 PC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 유용한데 BLE 기능이 없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ESP32-S3는 S2기능에 BLE까지 추가되었다. ESP32S2와 핀수는 같지만 핀맵이 조금 변경되어nexp.tistory.com  ESP..
[RP2040_W6100] RP2040 + W6100 Mini Board 제작 RP2040은 저렴(1$)하면서 성능 좋은 MCU로 Wiznet사의 Ethernet 칩과 결합하면 저렴하면서도 성능 좋은 이더넷 솔루션이 될것 같다. 이번에는 R2040과 W6100을 결합해서 최대한 작은 보드로 [RP2040_W6100] 보드를 제작 해 보았다. 가능하면 작게 만들기 위해 앞뒷면 배치를 했고 플래시 메모리도 작은 패키지로 선택했다.   최대한 작게 만들기 위해 SSM-Type EVM 형태로 10핀으로 제한해서 제작 했다.W6100의 SPI는 RP2040의 SPI0에 연결해서 기존 코드를 수정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기존에 제작했던 W6100 SSM 모듈과 비교해도 사이즈가 크게 차이가 없을정도로 작게 만들어 졌다.
CH32X035 SSM - 보드 제작 요즘 WCH사에서 작고 저렴한 MCU들이 잘 나오고 있는데 그중에 눈에 띄는 것이 CH32X035이다. TSSOP20핀 또는 그보다 작은 3x3mm 크기에 QFN 패키지는 정말 작은 크기에 USB PD 솔루션을 제공하는 MCU이다. 가격도 200원대라 정말 저렴한것 같다. 소형의 USB 기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에 정말 좋은 솔루션이 될것 같다. MCU 코어는 48Mhz의 RISC-V이고 62k flash라 CH32003 보다는 개발환경이 여유로운것 같다. CH32X035는 여러 패키지가 있지만 우선 가장 작은 QFN20 패키지로 SSM EVM 형태로 제작 해 보았다.
CH32V003-USB SSM 보드 제작 CH32V003 SSM 보드는 CH32V003의 다양한 패키지를 테스트하기위해 만들었는데 USB 소프트웨어 스택으로 USB기능도 할수 있다고 해서 TSSOP-20핀 타입의 USB 커넥터가 있는 CH32V003-USB SSM 보드를 제작 해 보았다. USB 소프트 스택은 https://github.com/cnlohr/rv003usb 에서 다운 받을 수 있다. CH32V003-USB SSM 보드 회로도     USB는 PD3, PD4에 할당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