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049) 썸네일형 리스트형 Raspberry Pi Pico - RP2040 SSM 보드 제작 Raspberry Pi Pico 보드에 적용된 RP2040 칩이 아주 저렴한 가격(1$)에 판매하고 있다. 어떻게 이 가격에 MCU를 공급 할 수 있지? 중국칩도 아니고 Raspberry Pi에서 이렇게 판매 한다니... MCU 시장도 장악 하겠다는 의지 인가? RaspberryPi Poco 보드가 시판 될 때만 해도 그냥 저렴한 MCU 만들어서 보드 대량으로 뿌리는 구나 생각 했는데... 아무튼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칩인것 같다. 그래서 가장 간단하게 표준 핀맵을 따르는 SSM-EVM 형태로 제작 해 보았다. 크기를 최대한 줄여서 필수 핀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했다. Cortex M0+ 코어 이긴 하지만 저렴함을 무기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면 좋을것 같다. Dual-core 32bit A.. [ESP32-C3 xBee] 온습도 센서 SHT20 테스트 SHT20 온습도 센서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프로젝트에 사용될 보드 테스트를 진행 해 보자 우선 온습도 센서 SHT20의 온습도 데이터를 시리얼로 출력 하는 예제를 작성한다. SHT20 Arduino 라이브러리는 uFire_SHT20을 사용하였다 #include "uFire_SHT20.h" uFire_SHT20 sht20; void setup() { SerialUSB.begin(115200); SerialUSB.println("SHT20 Test"); Serial1.begin(115200); Wire.begin(); pinMode(2, OUTPUT); sht20.begin(); } float temp = 0.0; int toggle = 0; void loop() { toggle ^= 1; temp.. [ESP32-C3 xBee] Arduino USB 테스트 ESP32-C3은 기존 ESP32시리즈와 다르게 USB인터페이스가 있다. ESP32-C3의 USB 인터페이스를 테스트 해 보자 ESP32-C3 xBee EVM 보드는 USB커넥터가 없기 때문에 RPI-EXP-IF Board를 이용하여 USB 커넥터를 연결 할 수 있다. ESP32-C3 메뉴에서 USB CDC On Boot 를 Enabled로 설정해야 한다. 이후 Serial 은 USB CDC로 출력 하게 된다. SP32-C3 펌웨어 업로드 방법도 USB CDC로 할수 있다. 이경우 USB UART없이 펌웨어 업로드를 할수 있어 편리한 기능인것 같다. [ESP32-C3 xBee] Arduino 만들기 Arduino 에서 ESP32 보드 파일 추가 https://raw.githubusercontent.com/espressif/arduino-esp32/gh-pages/package_esp32_dev_index.json 보드 메니저에서 esp32 추가 2.0 이상에서 ESP-C3를 지원한다. Arduino에서 ESP32C3 선택 다운로드 까지는 잘 동작 하는데... 실행시 계속 리셋이 발생한다. rst:0x8 (TG1WDT_SYS_RST),boot:0xc (SPI_FAST_FLASH_BOOT) Saved PC:0x40380082 SPIWP:0xee mode:DIO, clock div:1 load:0x3fcd6100,len:0x484 load:0x403ce000,len:0x90c load:0x403d0000.. ESP32-C3 xBee EVM 보드 제작 ESP32-C3 모듈을 무선 기능을 가진 [xBee EVM] 형태의 핀맵으로 제작 했다. ESP8266 XBee 모듈과 동일한 핀맵에 저렴하면서 성능도 좋기 때문에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것 같다. ESP32-C3 와 ESP8266의 핀맵은 거의 유사 하므로 기존의 ESP8266으로 만들어진 보드를 활용해서 대체 가능하다. 한가지 아쉬운점은 ESP8266 모듈에서 13번 핀 ( IO18/D-)이 GND로 되어있어 기존 보드를 사용한다면 USB를 사용할 수 없다. ESP8266 ESP32-C3 [STM32F-Tx SSM] STM32F103T - Iperf로 W5500의 TCP Throughput 측정 테스트 STM32F103 시리즈를 이용하여 W5500 Ethernet 모듈의 TCP Throughput 을 측정해 보자. STM32F103의 SPI클럭 최대 주파수는 18Mhz 이다. 18Mhz SPI 클럭에서 3.5Mbps정도로 측정된다. STM32F103의 SPI DMA를 사용하면 8Mbps 정도로 측정이 된다. W5500의 버퍼를 최대한 키워보자. W5500의 FIFO 메모리를 최대로 키우고 SPI DMA를 사용하여 STM32F103에서 W5500 iperf TCP 전송율 테스트 결과 14Mbps로 측정이 된다. [STM32F-Tx SSM] STM32F103T 보드 제작 STM32 시리즈중 QFN타입이라 소형제품에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STM32F103Tx 시리즈를 테스트 할수 있는 SSM Type EVM 형태로 제작 했다. 소형이고 저렴해서 여러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STM32G4 SM] STM32CubeIDE STM32G431 - Iperf로 W5500의 TCP Throughput 측정 테스트 STM32G431은 170Mhz로 구동이 되고 SPI는 80Mhz(최대 보장75Mhz) 까지 설정 가능하므로 SPI로 구동되는 W5500모듈의 전송율을 테스트 해 보기에 좋을것 같다. 네트웍 전송율 테스트를 위해 PC에서는 iperf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STM32에서는 W5500 TCP loopback 테스트 코를 조금 수정해 iperf 클라이언트 코드로 작성했다. int32_t iperf_tcps(uint8_t sn, uint8_t* buf, uint16_t port) { int32_t ret; uint16_t size = 0, sentsize=0; switch(getSn_SR(sn)) { case SOCK_ESTABLISHED : if(getSn_IR(sn) & Sn_IR_CON) { setSn_IR..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