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94)
[RP2350 SM] W6300의 Iperf TCP Throughput 측정 테스트 (94Mbps 측정) W6300의 가장 큰 특징으로 64byte의 메모리와 150Mhz QSPI로 고속의 이더넷을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RP2350을 이용한 W6300 개발환경 설정 코드를 수정해서 W6300의 TCP 전송률 테스트를 해 보자. 우선 W6300의 TCP루프백 테스트 코드로 TCP 송수신 속도를 측정 해보자.#include #include "pico/stdlib.h"#include "hardware/spi.h"#include "hardware/pio.h"#include "hardware/timer.h"#include "hardware/uart.h"#include "hardware/clocks.h"#include "hardware/pll.h"#include "wizchip_spi.h"#include "wi..
[RP2350 SM] W6300 테스트 개발환경 설정 RP2350을 이용하여 W6300을 테스트 해보자먼저 하드웨어 적으로 QSPI로 연결한다. [W6300 SSM] 보드는 표준 핀맵의 SPI로 할당되어 있고 나머지 핀에 QSPI 핀이 할당되어 있다. RP2350은 QSPI 하드웨어 블록은 플래시 메모리에 할당되어 있기 때문에 PIO로 생성해 주어야 한다. 위즈넷에서 wizchip_qspi_pio.pio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제공되는 pio핀맵 특성상 핀들은 연속되게 설정되어야 한다. 연속되지 않는다면 PIO관련 코드 수정이 필요하다. RP2350 SSM EXP 보드에선 GP12~19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공 코드를 수정해 주었다.#elif (DEVICE_BOARD_NAME == W6300_EVB_PICO || DEVICE_BOARD_NAME == W630..
[W6300 SSM] W6300 보드 제작 Wiznet의 새로운칩 W6300이 출시 되었다. 기존 W6100 대비 메모리와 속도가 향상되었다고 한다.가장 큰 특지으로 150MHz system clock의 QSPI를 지원하고 네트웍 속도가 크게 향상되었다고 하니 표준 핀맵의 SSM Type 형태의 표준 핀맵으로 제작 해 보았다 기존에 제작했던 W6100 SSM EVM 보드와 같은형태로 최대한 작게해서 SPI모드 전용으로 제작 했다. W6300 SSM 보드 회로 핀맵
[ESP32C6 SSM] Zigbee 온습도 장치(SHT20) 제작 및 슬립모드 구현 Zigbee 온도 센서 장치 제작 코드를 이용해서 온습도센서 SHT20의 온습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Zigbee ED 장치를 만들어 보자.이번에는 상용품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평소에는 슬립모드로 전류소모를 줄이다 특정 시간마다 깨어나서 온습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온습도 센서는 SHT20 이 실장되어 있는 I2C 온습도 모듈을 이용 하였다. 슬립모드 테스트 예제는 ESP32C6 Deep Sleep Mode Test 예제를 사용하였다. #ifndef ZIGBEE_MODE_ED#error "Zigbee end device mode is not selected in Tools->Zigbee mode"#endif#include "Zigbee.h" // ESP Zigbee 라이브..
[ESP32C6 xBee] Zigbee Gateway 제작 - 온도 센서 ZB End Device 붙이기 Adruino를 이용하여 입력에 해당하는 Zigbee 온도 센서 End Device를 제작 하였으니 Zigbee Gateway에 붙이는 코드도 작성해 보자 디바이스 바인딩은 ESP32C6 Light ZB End Device 붙이기 예제에서 처럼 simple_desc_cb 함수에 온도 센서 장치일 경우 바인딩 부분만 추가하면 쉽게 해결된다.// Simple Descriptor 응답 처리 콜백static void simple_desc_cb(esp_zb_zdp_status_t zdo_status, esp_zb_af_simple_desc_1_1_t *simple_desc, void *user_ctx){ if (z..
[ESP32C6 SSM] Arduino에서 Zigbee 써모커플 온도 센서 장치 제작 ESP32C6 Arduino에서 Zigbee End Device 제작예제 작성에서 Zigbee 출력 장치에 대한 ESP32C6 Arduino Zigbee 세팅 방법을 알아으니 이제는 입력에 해다하는 온도 센서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는 End Device를 만들어 보자. 이전 예제에서도 그렇지만 Arduio를 이용하면 아주 쉽고 간단하게 표준화된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작성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다양한 장치들을 쉽게 연결 할수도 있다.이번 예제처럼 써모커플 온도 센서를 연결하려면 ESP-IDF코드에서는 I2C부터 MAX31855코드 작성까지 코드 수정이 많이 해야 하는데 Arduino 를 이용하면 간단히 써모커플 온도 센서를 아주 쉽게 추가 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MAX31856..
[ESP32C6 XBee] Arduino 에서 Zigbee Light End Device 전등 제어 장치 제작 ESP32C6 Gateway 장치에 연결할 다양한 End Device를 테스트 하려고 하다보니 좀더 쉽고 간단하게 End Device를 작성할 방법을 알아보게 된다. 알아보니 ESP32C6 Arduino 예제에 Zigbee 장치에 대한 다양한 것들이 존재한다. Arduino를 이용하면 코드도 간단하고 기존에 작성한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이용할 수 있어서 쉽게 Zigbee EndDevice를 제작 할수 있을것 같다. 우선 ESP32C6에서 Zigbee 예제를 사용하려면 Arduino의 Tools 설정에서 Zigbee 관련 세팅을 해 주어야 한다.Tools->Partition Scheme ->Zigbee 2MB with spiffs 로 설정한다. 그리고 Tools->Zigbee Mode -> Zigbe..
[ESP32C6 xBee] Zigbee Gateway 제작 - Light ZB End Device 붙이기 ESP32C6는 다른 Zigbee 디바이스들(https://nexp.tistory.com/3861) 과 비교해 저전력 구동에 있어 여러 단점이 있다. 다른 디바이스들은 슬립모드에서 nA 단위로 설명하는데, ESP32C6는 uA단위로 이야기 하고 있다. 3~4년 적어도 5년 이상을 구동해야하는 Zigbee 디바이스 특성상 최대한 소모 전류를 줄여야 하기에 ESP32시리즈로 저전력 구동은 어려운 점이 많다. 일단 동작 전원이 3V 이상이라 더이상 손쓰기가 어려울것 같다.그래서 ESP32C6로 ZigBee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전원에 민감하지 않는 Gateway 장치를 만들기에 적합하지 않을까.. WiFi, BLE도 있어 저렴하게 구성하기에 좋을것 같다. Gateway 예제코드를 베이스로 해서 ZigBee ..